DI 컨테이너
by 키위먹고싶다IoC 컨테이너, DI 컨테이너 :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주는 것. 최근에는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추어 주로 DI 컨테이너라고 한다.
BeanFactory
-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이다.
-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.
- getBean()을 제공한다
ApplicationContext
- BeanFactory 기능을 모두 상속 받아서 제공한다.
-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기능 외에 여러 부가기능이 필요한데 이 기능들을 모두 상속받는다.
- - 메시지소스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: 한국에선 한국어.. 영어권에서 영어로
- - 환경변수 : 로컬, 개발, 운영등을 구분해서 처리
- -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: 이벤트를 발행하고 구독하는 모델을 편리하게 지원
- - 편리한 리소스 조회 : 파일, 클래스 패스, 외부 등에서 리소스를 편리하게 조회
- 스프링 컨테이너는 xml기반으로 만들 수 있고 애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만들 수 있다.
정리
- ApplicationContext, BeanFactory를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하며 BeanFactory를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고 BeanFactory와 여러 부가기능을 상속받은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.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같은 클래스에서 @Transcation 메서드 호출할때 문제점 (0) | 2022.07.08 |
---|---|
cors와 spring security filter chain (0) | 2022.05.04 |
인증과 인가, spring security[Session], jwt[Token] (0) | 2022.04.15 |
AOP(Aspect-Oriented-Programming) (0) | 2022.03.13 |
빈 후처리기 (0) | 2022.03.10 |
블로그의 정보
kiwi
키위먹고싶다